산업동물

홈 > 산업동물 > 돼지 > 소화기 질병
제목 증식성장염 증후군증(회장염)
이름 bayer 작성일   2002.06.14

증식성장염 증후군증(회장염) 

10여년 전부터 국내에서 심각한 피해를 일으켜오는 질병으로서 경제성 상실은 물론 감염된 농장에서는 근치가 안되어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감염증임   

1)원인균 : 로소니아 인투라셀룰라리스 ( Lawsonia intracelluraris )라는 세포내 세균으로서 세포 외에서는 증식하지 못하고 또한 체외에서 장기간 생존 할 수 없는 특징을 갖고있어  이론적으로는 올인 올 아웃에 의한 2 주간의 돈사 혹은 돈방을 비우고 소독을 실시하면 좋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음 그러나 현실적으로 2싸이트를 기본으로 하지 않는한 근절은 어려움.   

 

**  - 70℃ 의 냉동조직에서 생존하나 외부 배양액에서는 증식이 안됨 

 

2)발생요인 : 미국의 경우  감염된  농장의 질병 이환율은 12 ∼50%정도로서 큰  경제적인 손실이며 년간 150억 이상의 연구비를 투입하는 질병으로서 추정원인은

가.  갑작스러운 사육환경의 변화요인 제공 ( 수송 ,이동 ) 

나.  갑작스러운 사료나 항균제제의 변경. 

다.  혼사에 의한 투쟁 및 스트레스제공

라.  사육밀도를 넘는 밀사

마. 대장균등 병원성 원인균에 이환된 돈군에 로소니아인트라셀루라리스가 감염되면 쉽게 증상 발현  

 

3)임상증상 : 주 발생 주령은 6주 ∼ 20주령 사이의 비육돈 또는 후보돈에서 혈액성 설사를 유발함. (20 ∼ 42 kg에서 감염시 주로 설사유발)

경 증  :  비특이성 설사. 식욕결핖. 우둔. 무관심 등의 증상을 보이며 치료시   합병증이 없을 경우 4∼ 6주간에 걸쳐 회복의 기미를 보이거나 만성화 됨.  

중 증  : 비육후기 또는 후보돈의 성장 완료기에 감염이 이루어질 경우는 경  증 보다는 출혈성설사, 창백, 증체율감소, 성장지연 또는 폐사 등 임상증상을 나타냄.

4)발생경과 : 타 병원성 원인균의 감염여부와 감염 일령,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   여 발생 양상이 달라짐.  

5)만성 감염증 : 체중 20 ∼ 50 kg 정도의 성장돈에서 로소니아인투라셀루라리스에 감염 되었을 시 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식욕감소. 우둔. 체중감소. 수일내지 4주 이상의 갈색 수양성설사. 또는 연변 등의 만성경과를 보이며 도축 시 장관 막의 괴사나 비후를 볼 수 있음.

6)급성 감염증 :  체중 50 ∼ 102 kg 사이의 비육기때 원인균에 감염이 되면 출혈성 장질환을 일으켜 6% 정도의 폐사율에 이르기도 함. 주 증상으로는 붉고 검은 타르양상의 설사. 허약. 빈혈. 식욕결핖 등의 임상증상과 부검시 혈액 응고물 등이 나타나나 미란. 출혈반점. 궤양 등은 잘 나타나지 않음.  

7)경제성 상실 :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으면 항균제의 치료로 대부분 6주∼8주 정도에 걸쳐 회복되나 증체율 저하, 체중 감소등 15% ∼30 %정도의 손실. 

8)발생양상 : 소독. 항균제의 정기적인 투약 등으로 면역증강이 이루어 질수 있는 요인이 제거가 됨으로서 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나 철저한 방역관리에 의하여 만성형은 감소가 될 것임.

9)예방 및 치료 : 질병의 중대성을 감안하여 항균제, 사양환경관리, 방역위생관리의  세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대책을 강구 할 필요가 있음

10)약제투약요령

가. 일반적인 약제로는 티아물린. 타이로신. 린스마이신. 크로르테트라싸이클린. 엔로프로삭신 중 선택하여 정확한 농도로 최소 2주간 투약.   

나. 회장에서 아미노산의 흡수가 불량해짐으로 전해질제제. 아미노산. 비타민 등의 추가 공급을 사료첨가 혹은 주사를 해줌                   

다. 복합감염시 해당되는 약제를 추가 선택하여 혼합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는데 차라리 광범위 한 원인균에 잘 듣는 약제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 임 .                 

라. 일단 증상을 보인 돈방의 군은 전체를 주사를 이용하여  개체 치료. (바이트릴. 액센트. 타이로신 등)

마. 타이로신, 키타사마이신 등의 마크로라이드 제제의 항균제를 사요첨가제로 투여하여 에방하고 백신을 사용한다,



이전글 ▶ 로타바이러스성 장염 ( Rotavirus enteritis )
다음글 ▶ 증식성장염( 회장염) 예방을 위한 사양관리 지침